오늘 한 일
내배캠 자바 개인 과제
- 키오스크 과제 모범답안 확인
- 모범답안 중 클래스 뒤에 붙는 context란?
잘 정리해주신 글이 있었다.
Context가 뭐죠?
개발을 하다 보면 Context라는 용어를 자주접하게 된다.기능적으로만 이해하고 갑자기 의미가 궁금해서 찾아보았다.하단의 내용은 스택 오버플로우에 필자와 같은 질문과 그에대한 답변이다.질
pflb.tistory.com
요약하자면 context는 어떤 행위를 위한 정보들을 지칭한다. 이것은 필수적일 수도 있고 도움을 주는 선에서의 정보일 수도 있다.
java에서 제공하는 interface 중에도 context라는 친구가 있다고 한다.
시간관계 상 간략하게 읽어보니 이름과 객체를 binding하는 역할이라는데 내일 더 읽어봐야겠다.
- 자료구조 활용의 중요성
객체지향 이모저모
- 객체지향의 5가지 설계원칙
https://mangkyu.tistory.com/194
[OOP]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5가지 설계 원칙, 실무 코드로 살펴보는 SOLID
이번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5가지 핵심 원칙인 SOLID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실제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살펴보고자 합니다. 아
mangkyu.tistory.com
실무 코드로 봐서 그런지 이해는 잘 되지만 직접해본 건 아니라 막연하다. 이번 모범답안을 이 설계원칙을 지켰는지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분석해야겠다.
알고리즘
- 백준 10026 적록색약(Gold 5, BFS)
느낀 점
모범답안을 보니 역할 분담을 잘 했다고 느꼈고 동시에 이게 최선일까?라는 의문도 동시에 들었다. 한 클래스에서 모든 로직을 구현한 나로서는 각각의 기능들마다 하나의 클래스가 존재해야 한다고 막연하게 생각했고 또 이 많은 클래스들을 패키지로도 잘 분류해야한다 생각했었다.
그러나 모범 답안을 보니 이 위대한 분은 그러지 않고도 각각의 역할을 깔끔하게 정리했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App 클래스가 긴 것에 대해서는 좀 더 분할할 수 있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은 든다.
근데 사실 모두까기 인형이지 내 코드보다 훨씬 나으니 좋은 교보재라고 생각하고
다음 과제가 무엇일지는 모르겠으나 이번 모범답안을 살펴보면서 객체 지향에 대한 감을 더 잡았으면 좋겠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10.27] (0) | 2023.10.27 |
---|---|
[23.10.25] (0) | 2023.10.25 |
[23.10.24] (0) | 2023.10.24 |
[23.10.20] (1) | 2023.10.20 |
[23.10.19] (0) | 2023.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