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 DAO vs DTO vs VO 

DAO(Data Access Object)

DAO는 DB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이다.

직접 DB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삽입, 삭제 등등을 수행한다.

주로 Service 계층에서 DB와 소통하며 Repository 패키지가 DAO의 한 예시이다

 

DTO(Data Transfer Object)

DTO는 계층 간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한 객체로 따로 로직을 가지지 않는 순수한 데이터 객체(POJO)이다.

DB에 저장된 엔티티를 서비스 계층이나 컨트롤러에 보낼때 DTO 형태로 변환한 후 보내준다.

Getter/Setter 메서드만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VO(Value object)

VO는 DTO와 달리 Read-only만 가능한 객체이다.

Getter만 가지고 있다.

DTO는 인스턴스, VO는 리터럴 값의 개념이다.

VO는 값 자체에 의미가 있고 DTO는 전달될 데이터를 보존해야하는 것이 핵심 역할이다

값 자체에 엄청난 의미가 있기 때문에 가변성이 생길 수 있는 setter는 없더라도 equals, hashCode 등의 데이터 검증 메소드을

추가하는 경우도 있다.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  빛의 경로 사이클(Level 2, 구현)

느낀 점

너무 춥다. 오른손 말초신경까지 온기가 잘 전해지지 않는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12.20]  (1) 2023.12.20
[23.12.19]  (1) 2023.12.19
[23.12.15]  (1) 2023.12.15
[23.12.14]  (0) 2023.12.15
[23.12.13]  (0) 2023.12.13

+ Recent posts